Subneting을 하는 이유

2021. 3. 2. 02:2242seoul/net what

1. 데이터 전송 방식

컴퓨터 네트워크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여러가지가 있다. 

 

점대점 방식, 브로드캐스트 방식 크게 두가지로 나눠진다.

 

1-1 점대점 방식

점대점 방식에서는 호스트 간의 데이터 전달과정에서 송신호스트와 중개호스트와 일대일로 연결되므로 다른 호스트에는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는다.

대부분 원거리에 있는 시스템 사이의 통신방식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WAN 환경에서 주로 사용한다.

 

점대점 방식은 다시 스타형, 링형, 완전형, 불규칙형으로 연결방식에 따라 나눠진다.

점대점 연결 방식

스타형은 중앙 중개 호스트(허브 : hub)를 거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이다. 중앙에 있는 하나의 중개 호스트 주위로 여러 호스트를 일대일로 연결하는 형태이다. 모든 데이터가 중앙 호스트를 중심으로 라우팅되므로 중개 과정이 간단하나 중앙 호스트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의 동작에 영향을 많이 준다. 따라서 중앙 호스트의 성능과 신뢰성이 중요하다. 스타형의 구조를 확장하면 트리형 구조가 된다.

 

링형은 호스트의 연결이 순환 구조를 이루는 형태이다. 모든 호스트가 전송과 교환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한 방향으로 전송을 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므로 교환 기능은 사용하지 않는다. 링 구조는 데이터 충돌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토큰을 가져 전송 권한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구조의 경우 한 호스트가 고장이 나면 전체 네트워크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완전형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호스트를 1:1로 연결한다. 따라서 교환 기능이 불필요하다. 하지만 비용 측면에서 전송 매체의 개수가 많이 증가하게 되므로 극단적으로 비효율적이다. 

 

불규칙형은 말 그대로 전송 매체에 의해 연결 구조를 특정 패턴으로 분류할 수 없는 형태이다. 그래서 불규칙형을 설계할 때 트래픽이 많은 지역은 연결 수가 많게, 트래픽이 적은 지역은 연결의 수를 적게 제작하면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1-2 브로드캐스팅 방식

브로드캐스팅 방식은 특정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전달된다는 특징이 있다.

모든 호스트를 하나의 전송매체로 연결하므로 중개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 호스트가 필요없다.

대표적으로 버스형과 링형이 존재한다. 

 

버스형은 공유 버스에 모든 호스트를 연결하는 형태이다. 둘 이상의 호스트가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두 가지 정도가 있는데 사전 예방 방식으로 전송 시간대를 다르게 하거나 토큰 제어하는 방식이 있고 사후 해결 방식으로 충돌을 감지하여 후에 처리하는 방식이다.

 

링형은 호스트를 순환 구조로 연결하는 것이다.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를 링을 한 바퀴 순환한 후 송신 호스트에 되돌아온다. 중간의 호스트 중에서 수신 호스트로 지정된 호스트만 데이터를 내부에 저장하고 다른 호스트는 버린다. 충돌에 의한 제어는 토큰 제어 방식(전송 권한)을 택하여 수행한다.


 1-3 브로드캐스팅 / 서브네팅 관계

앞 포스팅에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 했지만 다시한번 설명하면

 

네트워크 주소 : 하나의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 해당 네트워크의 첫번째 IP주소

- 계산 방법 : IP주소와 서브넷마스크의 AND연산을 하여 도출

 

 

브로드캐스트 주소 : 특정 네트워크에 속하는 모든 호스트들이 가지는 주소, 네트워크에 속하고 있는 모든 클라이언트 모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함

 

- 해당 네트워크에 속하는 모든 IP주소 가운데 맨 마지막 IP주소

- 계산방법 : 서브넷 마스크의 '0'인 부분을 모두 1로 바꾼다.

 

예를 들어 C클래스 하나로 특정 IP를 할당했다고 했다하고, IP의 네트워크 주소가 192 . 162 . 4 . 0 이라고 한다면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192 . 162 . 2 . 255 가 된다.

 

 

'42seoul > net wha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mask란 무엇인가?  (0) 2021.03.02
Network란 무엇인가?  (0) 2021.03.01
IP address란 무엇인가?  (0) 2021.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