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seoul/net what(4)
-
Subneting을 하는 이유
1. 데이터 전송 방식 컴퓨터 네트워크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여러가지가 있다. 점대점 방식, 브로드캐스트 방식 크게 두가지로 나눠진다. 1-1 점대점 방식 점대점 방식에서는 호스트 간의 데이터 전달과정에서 송신호스트와 중개호스트와 일대일로 연결되므로 다른 호스트에는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는다. 대부분 원거리에 있는 시스템 사이의 통신방식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WAN 환경에서 주로 사용한다. 점대점 방식은 다시 스타형, 링형, 완전형, 불규칙형으로 연결방식에 따라 나눠진다. 스타형은 중앙 중개 호스트(허브 : hub)를 거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이다. 중앙에 있는 하나의 중개 호스트 주위로 여러 호스트를 일대일로 연결하는 형태이다. 모든 데이터가 중앙 호스트를 중심으로 라우팅되므로 중개 과정..
2021.03.02 -
Netmask란 무엇인가?
1. 넷마스크(Netmask, 네트워크 마스크) 요즘은 넷마스크라는 용어 대신 서브넷마스크 용어를 많이 사용하지만 정리해 보겠다. 네트워크마스크를 넷마스크라고 하기도 한다. 넷마스크 = 네트워크 마스크라고 말하기도 한다. network mask와 subnet mask를 구분하지 않는다.... 너무 옛날 방식이기 때문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 클래스 없는 도메인간 라우팅 기법) 이 생긴 이후 network를 쪼개면서 subnet mask가 생겼기 때문에 netmask는 잘 언급되고 있지 않다. 엄연히 말하면 nwtmask와 subnetamsk가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면 편하겠다. 네트워크 주소 부분의 비트를 1로 치환한 것이 넷마스크이다. IP주소와 넷마스크를 AN..
2021.03.02 -
Network란 무엇인가?
우리가 맨날 죽을때까지 쓸 것 같은 네트워크 네트워크는 무엇인가? 우리는 인스타그램, 유튜브, 넷플릭스, 네이버 쇼핑 등,,, 맨날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다. 점점 네트워크는 영토가 확장되고 있고 용어, 개념이 계속해서 새롭게 나오고 있다. 그럼 제일 기본이 되는 네트워크라는 건 무엇일까? 네트워크를 이해하려면 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송매체, 프로토콜, 네트워크, 인터넷 같은 "용어"가 제일 우선인것 같다!! 1. 네트워크란(network) ? net : 그물 work : 행위(일) 정리하면, 그물을 짜는 행위를 가리키는 명사에서 임의의 연결망을 지칭하는 용어로 그 범위가 확된 단어이다. 이 뜻을 요즘 사용법에 다시 정의하면 전송매체(transission media)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
2021.03.01 -
IP address란 무엇인가?
1. IP주소란? 컴퓨터를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IP라는 말을 여러번 들어봤을 것이다. ip주소란 다음과 같다. IP주소: 어떤 컴퓨터의 위치를 특정해주기 위한 ‘컴퓨터의 주소’ 즉, IP 주소란 컴퓨터의 고유 식별번호이다. 주민번호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통신규약(protocol)을 지켜야하는데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장비에는 장비를 식별할 수 있는 숫자 12개의 고유한 주소를 주어, 그 주소를 통해서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하도록 하자!" 이 주소를 통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한다. 이러한 IP주소에는 처음에는 여러 버전이 존재하는데 버전이 나눠진 이유는 네트워크 장비가 늘어남에 따라 주소가 너무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1-1. IPv4 IP versi..
2021.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