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2. 4. 22:57ㆍ네트워크
DNS(Domain Name System)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탑 대규모 소매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서버 등 네트워크 상에서 모든 우리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기기는 숫자를 사용하여 서로를 찾고 통신으로 합니다.
이러한 숫자를 우리는 IP(Internet protocol)주소라고 통칭합니다.
웹브라우저(google, aver emd)를 열고 웹 사이트로 이동할 때도 만찬가지로 IP주소가 필요한데 이러한 IP주소를 우리가 검색창에 입력하여 이동하기에는 너무 많은 웹사이트가 존재합니다. 그 대신 www.google.co.kr 과 같이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여 원하는 웹사이트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DNS 서비스는 전세계에 배포된 서비스로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웹사이트 주소를 192.82.211.34 과 같이 숫자 IP주소로 변환하여 컴퓨터가 서로 통신 할 수 있도록 바꿔줍니다. 반대 역할도 수행합니다.
여기서 헷갈리면 안되는 것이 DNS(Domain Name Space)라는 용어도 있다.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는 DNS가 저장 관리하는 계층적 데이터 베이스이다.
만약, www.media.korea.com 도메인이 존재한다면
com = 기구의 성격
korea = 기구 이름
media = 기구 내부의 하부 조직
을 의미하며 소속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메인이라는 것은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같은 레벨에서는 레이블의 이름이 유일해야 한다. 도메인 이름은 최하위 레이블을 왼쪽에 위치하고 상위로 이동하면서 점으로 구분한 레이블을 표기하는 것으로 나타내어진다. 최상위부터 순차적으로 계층적 소속 관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TLD(top level domain) 최상위 도메인은 도메인 이름의 맨 오른쪽에 위치한다. 밑에 그림에서는 mil, edu, arpa가 TLD에 위치한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레벨이 다르면 이름이 같아도 도메인 이름의 유일성이 보장된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at is a DHCP server and the DHCP protocol (0) | 2021.02.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