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8. 23. 12:47ㆍkubernetes | docker
1. virtual machine에서 만든 디스크를 시작 버튼을 눌러 시작하자.
2. 시작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고, 원하는 언어를 선택 후 install ubuntu를 누르자
3. 키보드의 언어를 설정하는 화면이다. 한국인이라면 한국어를 선택하자
3. 다른건 선택하지 말고 "계속하기"를 누르자
4. "지금 설치"를 누르면 된다.
5. "계속하기"를 누르자
6. 한국에 살고있다면 "계속하기"를 누르자
6. 본인이 원하는 이름, 암호를 입력하고 "계속하기"를 누르자
7. 설치가 진행된다...(한 10~15분 컴퓨터 성능에 따라 달라짐)
8.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지금 다시 시작"이 뜬다. 지금 다시 시작을 누른뒤 다시 시작하자
9. 다시 시작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
10. "건너뛰기"를 누른다
11. 계속 "다음"을 눌러 바탕화면이 나오면 설치가 완료
12. 소프트웨어 업데이터가 뜨면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13.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 되고 있다.
14.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지금 다시 시작"이 나오며 다시 시작하자
15. ctrl + alt + t 를 눌러 터미널을 열어주고, sudo -i를 입력하여 root계정으로 들어가자
16. apt update를 눌러 update를 진행해주자
17. apt install openssh-server를 입력하여 openssh-server를 설치하여 주자
18. ifconfig 명령어를 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apt install net-tools를 입력하여 설치하여 주자
19. 쿠버네티스에 접근하려면 네트워크 방화벽에 허락을 맡고 들어가야하지만.. 지금은 학습목적임으로 방화벽을 해제하자. 원래 쿠버네티스 방화벽은 따로 관리하는 방법이 있기에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일단 패스하자
ufw disable
20. vim을 설치하자. 나중에 IP 게이트웨이를 수정할시 한글입력이 깨지는 것을 방지
apt-get install vim
21. Vim 설치 후 장치 -> 게스트 확장 CD이미지 삽입...을 눌러 확장기능을 설치하자.
확장 기능을 설치하면 virtual machine의 화면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 편하게 사용이 가능해진다
22. 실행을 눌러 실행하자
root계정 암호입력!
설치가 진행된다.
Press Return to close this window...가 뜨면 enter를 누르자
23. 장치 > 클립보드 공유 > 양방향을 누르자
24. 자, 이제 네트워크 설정을 할 차례이다. vi /etc/hosts를 입력하여 네트워크 설정 파일을 열자
다음과 같이 입력을 할텐데..
ip를 입력할 때 가상환경의 ip를 확인하고 입력하도록 하자
터미널 창을 하나 더 열어서 ifconfig을 입력하고 enter를 치면 빨간 표시와 같이 enp0s3의 ip를 확인 할 수 있다.
그럼으로 우리는 master노드와 앞으로 만들 node01, node02의 ip주소를 101, 102, 103으로 맞춰 입력하면 된다.
25. hostname을 변경해보자 (hostnamectl set-hostname master)를 입력하여 master로 변경
26. Host만 접근할 수 있는 이더넷 주소를 설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cd /etc/netplan로 접근
vi 01-network-manager-all.yml 파일에 접근합니다.
다음과 같이 고정 ip를 설정하고 진행합니다. addresses의 ip는 위에서 적은 master의 ip를 입력합니다
27. 입력창을 닫고 고정ip설정을 적용합니다.
1. netplan apply
2. hostname -I
를 입력하여 설정한 ip가 뜨면 고정 ip설정 완료
28. hostname 변경을 적용하기 위해 reboot을 진행합니다.
reboot입력
hostname이 master로 변경된것을 확인 할 수 있다.
29. 이렇게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설치하기 전 ubuntu세팅이 끝났다.
이렇게 설치된 ubuntu환경을 복제하여 node01, node02를 만들어보자.
"현재 시스템 전원 끄기"를 선택하고 master를 닫자!
1. master에 커서를 두고 마우스 오른쪽을 누르면 "복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름 : node01
경로는 master를 만들었던 폴더를 선택하자
추가 옵션: "모든 네트워크 어댑터의 새 MAC 주소 생성"을 선택
완전한 복제 선택
복제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work01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30. 위와 똑같은 방법으로 work02도 만들자!
work02를 만든 후의 모습
31. work01을 실행 후 터미널을 열어 sudo -i를 입력 후 root로 접근하자
32. master 가상환경과 마찬가지로 hostname을 바꿔주고 고정ip를 변경해보자
33. 처음 node01을 192.168.100.102로 설정했었기 때문에 addresses다음과 같이 변경하자
34. 변경 후 reboot 실행
35. node02도 node01과 마찬가지로 진행합니다.
36. 이제 setting한 환경을 rollback하기 쉽도록 master, node01, node02를 복사하여 백업파일을 만들어 줍니다.
마치며)
여기까지 docker와 kubernetes 설치를 위한 환경세팅에 관한 글이었으며
다음글은 docker와 kubernetes를 설치하겠습니다.
Virtualbox VM(Ubuntu 20.04 LTS)에 Kubernetes cluster 설치하기
목차
truelifer.medium.com
https://cla9.tistory.com/90?category=814452
1.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축 - Virtual Box 환경 설정
서론 쿠버네티스를 처음 공부할 때 난해한 부분이 클러스터 설치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GCP, AWS와 같은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활용하거나 Katakoda와 같은 웹사이트를 통
cla9.tistory.com
'kubernetes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 외부 클라이언트에 서비스 노출 (0) | 2021.11.01 |
---|---|
kubernetes - 4 기본 명령어 정리 (0) | 2021.08.25 |
쿠버네티스 실습 - 문제1 (0) | 2021.08.24 |
kubernetes 실습환경 구축 - 3 docker, kubernetes 설치 (0) | 2021.08.23 |
kubernetes 실습환경 구축 - 1 가상환경 설치 및 ubuntu설치 (0) | 2021.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