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러닝 - 뉴런

2021. 6. 13. 20:18AI-딥러닝/딥러닝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술에 대해 공부하면서 "신경망"이라는 개념을 무조건 접하게 된다.

 

신경망이라는 용어는 뉴런이 모여서 하나의 그물을 형성하는 말인데

 

딥러닝의 기초가 되는 개념이더라... 그래서 관련 내용을 좀 정리를 해보겠다.

 

생물의 신경세포와 딥러닝에서 사용하는 뉴런의 생김새를 비교해보자.

신경세포와 단일뉴런

 사람의 신경세포의 전달구조는

 

시냅스 -> 수상돌기 -> 세포체 -> 축삭 -> 축삭종말 -> 시냅스 순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딥러닝에서 사용하는 단일 뉴런 또한

 

입력값(x_1,x_2,x_3,………x_n) -> 가중치(w_1,w_2,w_3,………w_n) -> (입력값 x 가중치)의 합 -> 출력

 

으로  인간의 신경세포를 모방하여 만들어 졌다.

 

구체적으로, 뉴런에는 다수의 입력이 있고 출력은 하나뿐이고, 각 입력에는 가중치를 곱한다. 가중치는 결합 하중이라고도 부르며입력마다 곱하는 값이 다 다르다(다양성을 위해).

 

그리고

 

 

이 가중치가 시냅스에서의 전달 효율에 해당되며 가중치 값이 클수록 더 많은 정보가 전달된다.

 

이제부터 단일뉴런을 뉴런이라고 그냥 말하겠습니다.

 

뉴런을 돔 더 설명하자면

 

뉴런에 들어오는 입력값들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처리되어 하나의 출력으로 나가게 됩니다

 

1.  들어오는 각 입력에 가중치를 곱합니다.

 

2. 입력과 가중치 곱을 모두 합하여 줍니다.

 

3. 합한 값이 편향(바이어스라고도 불림)을 더하여 준다.

 

4. 3에서의 계산 결과값을 u라고 한다면 u 활성화 함수에 입력합니다.

 

위와 같은 결과값으로 인해 하나의 출력으로 나오게 된다.

'AI-딥러닝 > 딥러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러닝 - 활성화 함수  (0) 2021.06.14
딥러닝 - 순전파  (0) 2021.06.14
딥러닝 - 뉴런을 모아 네트워크화  (0) 2021.06.13
머신러닝의 학습 방식 및 방법  (0) 2021.05.14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0) 2021.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