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 docker(20)
-
callico - NODE 통신
calico network requirements calicoctl 설치 curl -o calicoctl -O -L "https://github.com/projectcalico/calicoctl/releases/download/v3.19.1/calicoctl" chmod +x calicoctl mv calicoctl /usr/bin calico 기본설덜 확인 # 모드 정보 확인 calicoctl get ippool -o wide NAME CIDR NAT IPIPMODE VXLANMODE DISABLED SELECTOR default-ipv4-ippool 172.16.0.0/16 true Always Never false all() # 노드(BGP) Peer 정보 확인 calicoctl node statu..
2022.08.01 -
UTS namespace
UTS namespace는 hostname을 부여하고 namespace 별로 격리 시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UTS namespace를 동작하게 하려면 linux에서는 unshare() command를 이용하여 분리시킬 수 있다. unshare를 하는 순간 새로운 namespace환경이 생성된다. 동시에 #hostname 을 적게 되면 분리된 namespace에서의 hostname이 설정 된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namespace는 프로세스를 격리시키는 linux의 기능이라고 말했었다. 만들어 놓은 namespace가 어떤 메모리(힙, 스택, data ...etc)에 올라가고 유지되는지 혹은 어떤 파일에 기록되는지 궁금하여 unshare함수를 뜯어 보자. linux man page : https:/..
2022.08.01 -
linux hostname
linux의 hostname이란? hostname이란 linux서버에 처음 로그인 했을 때 뜨는 컴퓨터의 이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terminal창을 처음 열었을 경우 [root@ip-10-1-1-18]으로 커맨드가 시작하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여기서 @이를 기준으로 의미를 나눠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계정명@서버의 host이름] 계정명은 네이버에서 로그인을 하는경우 쓰는 아이디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만약, [root@ip-10-1-1-18 /] [root@ip-10-1-1-18 ~] 이렇게 나와있는경우 /, ~는 현재 위치해 있는 디렉터리 위치를 말해 줍니다. [root@ip-10-1-1-18]$ 이런식으로 시작하는 경우, $의 의미는 명령어를 입력하는 프롬프트의 끝을 의미합니다. 그런..
2022.08.01 -
kubernetes dir analysis
k8s root dir k8s 관리용 컴포넌트 kube-scheduler, kube-controller-manager, kube-apiserver, kube-proxy kubernetes etcd(안전적으로 운영 관리하기 위해서라면 주기적으로 백업할 것을 권장) kubernetes 오브젝트와 컨트롤러 오브젝트 : 파드, 서비스, 볼륨, 네임스페이스, 컨트롤러 : 레플리카세트, 디플로이먼트, 스테이트풀세트, 데몬세트, 잡 k8s root dir k8s 관리용 컴포넌트 kube-scheduler, kube-controller-manager, kube-apiserver, kube-proxy kubernetes etcd(안전적으로 운영 관리하기 위해서라면 주기적으로 백업할 것을 권장) kubernetes 오브젝..
2022.08.01 -
k8s svc nexus
넥서스 pod의 환경변수 $ kubectl execdevainexus-0 env nexus 서비스의 yaml cluster ip와 pod의 환경변수를 통해 pod와 서비스의 연결을 시도. 결과 : 성공 nexus svc의 endpoint $ kubectl describe svc devainexus
2022.02.28 -
kubernetes - volum(컨테이너에서 디스크 스토리지 연결)
1. 파드 내부에서 컨테이너가 이전에 종료된 위치에서 다시 시작하고 싶은 경우. 2. 전테 파일시스템이 유지도리 필요는 없지만 실제 데이터를 가진 디렉터리를 보존하고 싶은 경우. 이런 경우 쿠버네티스는 따로 스토리지 볼륨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기능을 지원한다. 스토리지 볼륨은 파드보다 상위 개념이 아닌 파드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해야한다. 파드가 생서되면 스토리지 볼륨도 생성되며, 파드가 삭제되면 스토리지 볼륨도 삭제된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컨테이너가 중지되고 다시 시작하면 새로운 컨테이너는 이전 컨테이너가 볼륨에 기록한 모든 파일들을 볼 수 있다. 또한 파드가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가진 경우 모든 컨테이너가 볼륨을 공유할 수 있다. 볼륨은 독립적인 쿠버네티스 오브젝트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체적으..
2021.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