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7)
-
K8S Cluster IP Change Procedure
1. PVC List Backup # kubectl get pvc -A > pvc_list.txt 2. configMap Backup #!/bin/bash namespaces="kube-public kube-system minio monitoring sodaflow"for ns in $namespaces do mkdir -p $ns configmaps=$(kubectl -n $ns get cm -o name|awk '{print $1}'|cut -d'/' -f 2)for cm in $configmaps; do kubectl -n $ns get cm $cm -o yaml > $ns/$cm.yaml done done 3. Configuration Backup /etc/kubernetes, /var/lib/k..
2022.08.01 -
AWS VPC설정
네트워크 액세스 (NACL) / 보안그룹 (Security Group) NACL 서브넷 레벨에서 운영 허용/거부 규칙 지원 연결된 서브넷의 모든 인스턴스에 자동 적용 Security Group 인스턴스 레벨에서 운영 허용 규칙만 지원 (어떤 ip 대역을 허용할지) 인스턴스 시작시 지정하거나 보안그룹을 나중에 인스턴스와 연결해야 적용됨 상단 네모칸은 네트워크 ACL 설정입니다. 이 Rule을 보니 172.31.1.2/32 라는 특정 ip만 제외하고 다른 모든 트래픽은 막아놓았습니다. 즉 저 서브넷은 한 ip만이 접근가능합니다. 아웃바운드 규칙도 보니 그 ip를 제외하고는 트래픽이 나갈수조차 없습니다. 이에 반해 인스턴스의 보안그룹 규칙 (하단 네모칸)을 보면 SSH 연결은 그 ip가 허용이 되어있고 모든 ..
2022.08.01 -
triton python custom environment
triton python backend는 자체 python 3.8 environment로 동작한다. twinreader model service에서 아래 오류가 발생 terminate called after throwing an instance of 'pybind11::cast_error' what(): Unable to cast Python instance to C++ type (compile in debug mode for details) python 3.7로 execution environment를 만들어 테스트 참조: https://github.com/triton-inference-server/python_backend#using-custom-python-execution-environments ..
2022.08.01 -
callico - NODE 통신
calico network requirements calicoctl 설치 curl -o calicoctl -O -L "https://github.com/projectcalico/calicoctl/releases/download/v3.19.1/calicoctl" chmod +x calicoctl mv calicoctl /usr/bin calico 기본설덜 확인 # 모드 정보 확인 calicoctl get ippool -o wide NAME CIDR NAT IPIPMODE VXLANMODE DISABLED SELECTOR default-ipv4-ippool 172.16.0.0/16 true Always Never false all() # 노드(BGP) Peer 정보 확인 calicoctl node statu..
2022.08.01 -
UTS namespace
UTS namespace는 hostname을 부여하고 namespace 별로 격리 시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UTS namespace를 동작하게 하려면 linux에서는 unshare() command를 이용하여 분리시킬 수 있다. unshare를 하는 순간 새로운 namespace환경이 생성된다. 동시에 #hostname 을 적게 되면 분리된 namespace에서의 hostname이 설정 된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namespace는 프로세스를 격리시키는 linux의 기능이라고 말했었다. 만들어 놓은 namespace가 어떤 메모리(힙, 스택, data ...etc)에 올라가고 유지되는지 혹은 어떤 파일에 기록되는지 궁금하여 unshare함수를 뜯어 보자. linux man page : https:/..
2022.08.01 -
linux hostname
linux의 hostname이란? hostname이란 linux서버에 처음 로그인 했을 때 뜨는 컴퓨터의 이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terminal창을 처음 열었을 경우 [root@ip-10-1-1-18]으로 커맨드가 시작하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여기서 @이를 기준으로 의미를 나눠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계정명@서버의 host이름] 계정명은 네이버에서 로그인을 하는경우 쓰는 아이디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만약, [root@ip-10-1-1-18 /] [root@ip-10-1-1-18 ~] 이렇게 나와있는경우 /, ~는 현재 위치해 있는 디렉터리 위치를 말해 줍니다. [root@ip-10-1-1-18]$ 이런식으로 시작하는 경우, $의 의미는 명령어를 입력하는 프롬프트의 끝을 의미합니다. 그런..
2022.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