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7)
-
IP address란 무엇인가?
1. IP주소란? 컴퓨터를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IP라는 말을 여러번 들어봤을 것이다. ip주소란 다음과 같다. IP주소: 어떤 컴퓨터의 위치를 특정해주기 위한 ‘컴퓨터의 주소’ 즉, IP 주소란 컴퓨터의 고유 식별번호이다. 주민번호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통신규약(protocol)을 지켜야하는데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장비에는 장비를 식별할 수 있는 숫자 12개의 고유한 주소를 주어, 그 주소를 통해서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하도록 하자!" 이 주소를 통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한다. 이러한 IP주소에는 처음에는 여러 버전이 존재하는데 버전이 나눠진 이유는 네트워크 장비가 늘어남에 따라 주소가 너무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1-1. IPv4 IP versi..
2021.03.01 -
Cube_3D - 01
42서울 과제 중 cube_3d라는 과제가 있다... cube_3d과제를 수행하면서 필요한 지식들을 여기에 정리해볼까 한다.(내가 정리가 필요하다...) cube_3d과제는 원시적인 3d게임을 구현하는 과제다. 유명한 fps게임을 예를 들면 서든어택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여기서 쓰이는 기술은 "레이캐스팅"이라는 기술을 사용한다. 레이캐스팅이란 ray(광선), casting(던지다) 즉, 현재 위치에서 광선을 던져? 쏴서 벽(또는 장애물)이 충돌하는 지점을 찾아 거리를 구하는 기술이다. 서든 어택 같은 fps게임을 보면 총알을 쏜다. 총알 또한 레이캐스팅 기술로 구현한 것이다. 정리하면, 레이캐스팅은 2차원 맵에서 3차원의 원근감을 만드는 렌더링 기술이다. (렌더링 기술 :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모델..
2021.02.26 -
웹 페이지 동작 원리
웹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파악해보자.... 웹의 동작 원리에 대해 알면 웹을 배우면서 쓰게된 여러가지 API(응용프로그램)를 추가하고, 추가한 응용프로그램이 어떤 부분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①②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찾고 싶은 웹 페이지의 URL 주소를 입력함. ③ 사용자가 입력한 URL 주소 중에서 도메인 네임(domain name) 부분을 DNS 서버에서 검색함. ④ 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아 사용자가 입력한 URL 정보와 함께 전달함. ⑤⑥ 웹 페이지 URL 정보와 전달받은 IP 주소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함. 이렇게 생성된 HTTP 요청 메시지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2021.02.25 -
빅데이터 <chaptor 01>
분석 모형 설계 1. 분석 모형 선정 분석 목적에 부합하고 수집된 데이터의 변수들을 고려하여 적합한 빅데이터 분석 모형을 선정한다. 현상에서 패턴을 발견하는 것은 탐색적 데이터 분석(EDA)이며, 현상에서 인과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통계적 추론, 현상을 예측하는 것은 기계학습(머신러닝)이다. (1) 통계기반 분석 모형 선정(기상청 회식이 분주할 것으로 판단 된다.) 통계분석 = 불확실한 상황에서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 분류, 분석 및 해석하는 일련의 체계를 통계분석이라고 한다. 어떤 현상을 추정하고 예측을 검정하는 확률, 통계적 기법으로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 분산분석 주성분 분석 판별분석 이 있다. (기술통계) - 데이의 분석의 목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확..
2021.02.19 -
코딩테스트 - 그리드 알고리즘(Grid)
Grid = 탐욕적인 즉, 그리드 알고리즘은 탐욕적인 알고리즘이다. 탐욕적인 알고리즘은 "현재 주어진 상황에서 당장 좋은 혹은 도움되는 것만 고르는 방법"을 의미한다. Grid알고리즘의 대표적인 문제로는 "거스름돈 문제"로 예를 들 수 있는데 '거스름돈 문제' 카운터에 거스름돈이 500원, 100원, 50원, 10원짜리 동전이 무한히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손님에게 거슬러 줘야 할 돈이 N원 일때 거슬러줘야 할 동전의 최소 개수를 구하라. 단, 거슬러 줘야 할 돈 N은 항상 10의 배수이다. 여기서, 그리드 알고리즘으로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현재 주어진 상황에서 당장 좋은 혹은 도움되는 것만 고르는 방법" = "가장 큰 화폐 단위부터 거슬러 주는 것"이라는 생각을 해야한다. 자, 받은 돈이..
2021.02.19 -
컴퓨터의 작동원리 - 1
---------------다시한번 --------------------- 시대가 점점 컴퓨터에 대해 그리고 코딩이라는 기술이 점점 기본으로 할 줄 알아야 하는 세상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 시대가 다가오면서 어떤 친구들은 국비지원학원에 들어가 우리가 흔히 부르는 "코딩"을 배운다. 여기에서 코딩이란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여러가지 스킬을 다루는 스킬을 뜻한다. 그런데 어떤 친구는 가르쳐주는 대로 족족히 이해하고 빠르게 성장하는 반면, 어떤 친구는 이해하기 힘들고 지겨워하는 친구가 있기 마련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시대가 변해 갑자기 컴퓨터 코딩 스킬을 배우면, 배우는 스킬의 깊이 있는 원리, 컴퓨터의 동작 원리를 모르고 막 배우기 시작해서이다. 즉, 이제 막 기어다니는 아기보고 걷고, 뛰..
2021.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