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7)
-
printf - 기능 살펴보기
우리는 c언어를 처음 배우면서 기초로 터미널에 혹은 개발자 도구(visual stduio, visual code)를 사용해서 printf를 사용하여 "hello world"를 입력하고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실습해본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함수에 대해 배우고 함수의 기능 등 점점 printf의 내부는 어떻게 돌아갈까?에 대한 의문을 잊은채로 다른 것을 만들기 시작한다. 그래서 나는 "서울42"라는 우연한 기회에 정말 운명같이 우리가 아무 개념없이 써버린 printf의 구현을 만나버렸다... 구현하는데 3개월이 걸렸지만.. 알고난뒤 나는 너무 놀랍고 가치있는 경험이라고 말할 정도로 다들 해보라 추천하고 싶었다. 그래서 이렇게 정리해서 올리려고 한다. 1. printf 단순히 printf만을 그냥 설명하자면 ..
2021.02.08 -
What is a DNS server and the DNS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탑 대규모 소매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서버 등 네트워크 상에서 모든 우리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기기는 숫자를 사용하여 서로를 찾고 통신으로 합니다. 이러한 숫자를 우리는 IP(Internet protocol)주소라고 통칭합니다. 웹브라우저(google, aver emd)를 열고 웹 사이트로 이동할 때도 만찬가지로 IP주소가 필요한데 이러한 IP주소를 우리가 검색창에 입력하여 이동하기에는 너무 많은 웹사이트가 존재합니다. 그 대신 www.google.co.kr 과 같이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여 원하는 웹사이트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DNS 서비스는 전세계에 배포된 서비스로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웹사이트 주소를 192.82.211.34..
2021.02.04 -
What is a DHCP server and the DHCP protocol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다양한 호스트를 배열, 배치하는 통신규칙 특정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자는 접속하는 개별 호스트들에게 수동으로 고정 IP 주소를 할당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하철에 공공 와이파이가 있고, 이 와이파이 공유기에 연결할 수 있는 사람의 수는 500명으로 한정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지하철은 유동적으로 사람수가 변하고 많을때도 적을때도 있습니다. 이때 DHCP를 사용하여 현재 존재하는 먼저오는 사람 순으로 IP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 줍니다. 만약 먼저 할당해준 사람이 지하철을 내리고 가게 되면 할당한 IP를 회수하고 다른 사용자에게 넘깁니다. 이렇게 IP주소를 여러 컴퓨터 혹은 스마트폰이 공유해서 사용하면 더 적은 ..
2021.02.04 -
OSI 7계층(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OSI 7계층 :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 계층을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SI 7계층 이라고 한다. 다시말해서, 네트워크 통신이 이러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것을 의미한다. 7계층으로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흐름을 한눈에 알아보기 쉽고,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고 7단계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들이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기 때문이다. -----------------------------------------------------------------------------------------------------------------..
2021.02.04 -
유니코드란 무엇일까?
유니코드란, 숫자와 글자, 즉 키와 값이 1:1로 매핑된 형태의 코드 인것!! 다시 말해서 아스키코드로 0x41 = A로 매핑 된 것 처럼 아스키코드로 표현할 수 없는 문자들을 유니코드라는 이름 아래 전세계의 모든 문자를 특정 숫자(키)와 1:1로 매핑한 것이다. 전세계의 모든 문자가 너무 많을 것 같지만... 하지만 지금 유니코드는 현재 $$2^20 + 2^16$$ 개수 만큼의 공간을 사용하고 있어서 거의 모든 세계언어가 담겨있다. 특히 한자의 총 개수가 10만 여자가 될 것이라고 추정하는데, 모든 한자를 담고 있지 못한다는 것을 빼면 전세계 대부분의 문자가 전부 유니코드에 담겨 있다고 봐도 될 것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의 경우, 조합형을 위한 자모와, 완성형 한글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유니코드는..
2021.01.10